기존 내용들/산업안전
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2)안전보건관리 제 이론

갬성꿈돌이 2021. 7. 3. 17:36
반응형
반응형

<재해발생의 메커니즘>

 

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(사고연쇄성)

  • 제 1단계 :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인(근본원인)
  • 제 2단계 : 개인적 결함(기본원인)
  • 제 3단계 :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(직접원인)
  • 제 4단계 : 사고
  • 제 5단계 : 재해

※ 제 3단계를 제거하면 사고나 재해 예방, 1단계+2단계=간접원인

 

 

버드의 최신 도미노 이론

  • 제 1단계 : 제어의 부족(관리)
  • 제 2단계 : 기본원인(기원)
  • 제 3단계 : 직접원인(징후)
  • 제 4단계 : 사고(접촉)
  • 제 5단계 : 재해(손실)

※ 재해발생의 근원적 원인은 경영자의 관리 소홀

 

 

아담스의 사고연쇄 반응이론(사고요인과 관리시스템)

  • 제 1단계 : 관리구조
  • 제 2단계 : 작전적 에러
  • 제 3단계 : 전술적 에러
  • 제 4단계 : 사고
  • 제 5단계 : 상해/손해

※ 재해의 직접원인을 관리시스템 내의 불안전 행동과 불안전 상태에 두고 전술적 에러로 설명하였으며, 관리상의 잘못으로 인한 개념을 강조

 

 

<재해구성비율>

  • 하인리히(중상1 : 경상29 : 무상해사고300)
  • ILO통계분석(중상1 : 경상20 : 무상해사고200)
  • 버드(중상1 : 경상10 : 무상해사고(물적손실)30 : 무상해/무사고고장(위험순간)600)

 

 

<재해의 예방에 관한 이론>

  • 하인리히 재해예방 4원칙
예방가능 원칙 천재지변을 제외한 모든 재해는 원칙적으로 예방 가능
손실우연 원칙 사고로 생기는 상해의 종류 및 정도는 우연적
원인계기 원칙 사고와 손실의 관계는 우연적이나 사고와 원인관계는 필연적(사고에는 반드시 원인 존재)
대책선정 원칙 정확한 원인 규명으로 대책 선정 및 실시(3E를 중심으로)

 

  • 하인리히 재해에방 5단계
제 1단계 조직(안전관리조직) ①경영자의 안전목표 설정
②안전관리조직의 편성
③안전관리조직과 책임 부여
④조직을 통한 안전활동
⑤안전관리 규정의 제정
제 2단계 사실의 발견(현상파악) ①안전사고 및 활동기록 검토
②작업분석 및 불안전요소 발견
③안전점검 및 안전진단
④사고조사
⑤관찰 및 보고서의 연구
⑥안전토의 및 회의
⑦근로자의 건의 및 여론조사
제 3단계 분석평가 ①불안전 요소의 분석
②현장조사 결과의 분석
③사고보고서 분석
④인적/물적 환경조건의 분석
⑤작업공정의 분석
⑥교육과 훈련의 분석
⑦안전수칙 및 안전기준 분석
제 4단계 시정책의 선정(대책선정) ①인사 및 배치조정
②기술적 개선
③기술교육 및 훈련의 개선
④안전관리 행정업무의 개선
⑤규정 및 수칙의 개선
⑥확인 및 통제체제 개선
제 5단계 시정책의 적용(목표달성) ①3E의 적용단계(기술적/교육적/관리적 대책실시)
②목표설정 실시
③결과의 재평가 및 개선

 

  • 하베이 3E이론(안전대책)
3E 의미
Engineering(기술) 기계설비의 결함, 작업환경 불량 등 불안전한 상태 유발
Education(교육) 지식부족, 기능결여, 부적절한 태도 등 불안전한 행동 유발
Enforcement(관리) 안전관리조직 체계 미구비, 제반규정과 수칙 미준수 등 관리적 결함
3E의 대책 방법
기술적 대책 기계설비의 교체, 작업환경 개선

①설계 최적화
②구조재료의 검토
③생산공정 개선
④점검 및 보존 철저
교육적 대책 지속적이고 충실한 안전교육훈련 실시

①안전지식 함양
②안전수칙 교육 및 지도
③지속적/체계적 교육 실시
④작업방법 교육 철저
⑤유해/위험작업 교육 실시
관리적 대책 안전관리조직 구비, 제반규정/수칙준수, 안전감독의 철저

①적합한 기준설정
②각종 규정 및 수칙 준수
③전 종업원의 기준 이해
④경영자 및 관리자 솔선수범
⑤부단한 동기부여와 사기 향상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