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반응형
안전관리조직의 기본적 방향
- 조직의 구성원 전원 참여
- 각 계층간 종/횡/기능적 유대
- 조직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
안전관리조직의 기본적 목적
- 기업의 안전을 근본적으로 확보
- 책임있는 안전관리 활동 전개
- 조직적인 사고예방 활동 추진
- 조직게층 간 종/횡적 신속한 정보처리와 유대 강화
재해방지를 위한 안전관리조직
- 안전관리조직의 목적
- 모든 위험요소의 제거
- 위험요소 제거의 기술수준 향상
- 재해예방률 향상
- 단위당 예상비용 절감
- 안전관리조직의 구비조건
- 회사의 특성과 규모에 부합되게 조직화될 것
- 조직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제도적 체계 마련
- 조직을 구성하는 관리자의 책임과 권한을 분명히
- 생산라인과 밀착된 조직이 될 것
- 안전관리조직의 기능요소(중요기능)
- 안전상의 제안조치를 강구할 수 있는 기능
- 안전보건에 관한 교육과 지도, 감독 기능
- 경영적 차원에서의 안전조치 기능
- 재해사고 시 조사와 피해 억제 및 긴급조치 기능
안전관리조직 형태
- 라인형(line, 직계형 조직)
의의 | 안전 전문 분담 조직 X, 안전관리 계획부터 실시/평가까지 생산라인(생산지시)를 통해 이루어짐. 100명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. |
장점 |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뿐이므로 간단명료한 조직. 경영자의 명령/지휘가 신속/정확하게 전달되어 개선조치가 빠르게 진행. |
단점 | 안전에 대한 전문지식/정보 불충분. 생산라인의 업무에 중점을 두어 안전보건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음. |
- 스태프형(staff, 참모형 조직)
의의 | 회사 내에 별도 안전활동 전담부서 존재하는 조직 형태. 100명 이상 1000명 미만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.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, 조정, 조사, 검토, 보고 등의 업무와 현장 기술지원 담당. |
장점 | 경영자의 조언과 자문역할. 안전에 관한 지식, 기술의 정보 수집이 용이하고 빠름. |
단점 |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 없음. 안전과 생산을 별개로 취급하기 쉬움. |
- 라인-스태프형(line-staff, 직계 참모형 조직)
의의 | 안전보건 업부를 전담하는 스태프를 별도로 두고, 생산라인에는 그 부서의 장으로 하여금 계획된 생산라인의 안전관리조직을 통하여 실시하도록 한 조직 형태.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. |
장점 | 라인에서 안전보건 업무가 수행되어 안전보건에 관한 지시 명령 조치가 신속/정확. 스태프는 안전에 관한 기획, 조사, 검토 및 연구를 수행. |
단점 | 명령계통과 조언, 권고적 참여의 혼동이 쉬움. 라인과 스태프간에 협조가 안될 경우 업무의 원활한 추진 불가(월권 또는 상호 의견충돌 발생가능). 라인이 스태프에 의존 또는 활용하지 않는 경우 존재. |
반응형
'기존 내용들 > 산업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2.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용_2.3)운용방법 (0) | 2021.07.14 |
---|---|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2.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용_2.2)산업안전보건위원회 등의 법적 체제 (0) | 2021.07.04 |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4)제조물책임과 안전 (0) | 2021.07.04 |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3)생산성과 경제적 안전도 (0) | 2021.07.03 |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2)안전보건관리 제 이론 (0) | 2021.07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