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안전관리론 12
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2)안전보건관리 제 이론

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(사고연쇄성)제 1단계 :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인(근본원인)제 2단계 : 개인적 결함(기본원인)제 3단계 :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(직접원인)제 4단계 : 사고제 5단계 : 재해※ 제 3단계를 제거하면 사고나 재해 예방, 1단계+2단계=간접원인  버드의 최신 도미노 이론제 1단계 : 제어의 부족(관리)제 2단계 : 기본원인(기원)제 3단계 : 직접원인(징후)제 4단계 : 사고(접촉)제 5단계 : 재해(손실)※ 재해발생의 근원적 원인은 경영자의 관리 소홀  아담스의 사고연쇄 반응이론(사고요인과 관리시스템)제 1단계 : 관리구조제 2단계 : 작전적 에러제 3단계 : 전술적 에러제 4단계 : 사고제 5단계 : 상해/손해※ 재해의 직접원인을 관리시스템 내의 불안전 행동과 불안..

chapter1. 안전보건관리 개요_section 01. 안전과 생산_1.1)안전과 위험의 개념

안전관리 : 재해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제반활동.광의의 산업안전(적극적 안전) : 직/간접으로 어떠한 생존권 침해를 받지 않는 상태.협의의 산업안전(소극적 안전) : 사고의 결과인 재해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.  안전의 가치 1. 안전관리의 목적 및 중요성인간의 존중 : 인도주의 실현사회복지의 증진 : 경제성 향상생산성의 향상 : 안전태도의 개선 및 안전동기 부여경제적 손실의 예방 : 재해로 인한 재산 및 인적 손실 예방 2. 안전활동의 효과인간존중의 근본이념 실현바람직한 노사관계 형성 기여재해로 인한 손실/상해 예방기업 이미지 제고 및 사회적 인식 변화고유기술 축적으로 품질향상생산성 향상 및 기업 신뢰도 향상 3.안전유지와 생산의 관계안전은 생산성 향상의.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