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반응형
1. 착각현상 이해/적용
인간의 착각현상 | |
가현운동 | 정지한 대상물을 나타냈다 지웠다를 자주 반복하면 그 물체가 마치 운동하는 것처럼 인식되는 현상 ex) 영화의 영상기법, 베타운동 |
자동운동 | 암실 내에서 정지된 소광점을 응시하면 그 광점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<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>⭐ 광점이 작을 것 시야의 다른 부분 어두울 것 광의 강도가 작을 것 대상이 단순할 것 |
유도운동 | 실제로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어느 기준의 이동에 유도되어 움직이는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 ex)멈춰있는 기차 안의 승객이 옆에 움직이는 기차에 의해 본인이 탄 기차가 움직이는 것처럼 느낌 |
<간결성의 원리>
- 간결성의 원리란 : 심리활동에서 최소 에너지로 최대효과를 얻고자 하는 행동
- 이 원리에 기인하여 착각, 착오, 생략 오해 등으로 불리는 사고의 심리적 요인 형성
- 생략행위를 유발하는 심리적 요인
2. 주의력과 부주의에 대해 이해/적용
<주의>
주의 정의 : 행동하고자 하는 목적에 의식수준이 집중하는 심리상태.
주의의 특징⭐⭐ | |
선택성 | 주의는 동시에 두개의 방향에 집중 불가 여러 종류의 자극을 지각하거나 수용할 때 특정한 것에 한하여 선택하는 기능 |
변동성 | 고도의 주의는 장시간 지속불가 주의에는 리듬이 있어 언제나 일정수준 유지 불가능. |
방향성 | 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짐 주시점만 인지하는 기능 |
<부주의>
부주의 정의 : 목적수행을 위한 행동전개 과정 중 목적에서 벗어나는 심리적, 신체적 변화의 현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정신상태.
부주의 발생현상⭐ | |
의식의 단절(중단) | 의식의 흐름에 단절이 생기고 공백상태 나타남 의식수준 제 0단계의 상태(특수한 질병의 경우) |
의식의 우회 | 의식의 흐름이 옆으로 빗나가 발생한 경우 의식수준 제 0단계의 상태(걱정, 고민, 욕구불만 등) |
의식수준 저하 | 뚜렷하지 않은 의식상태로 심신이 피로하거나 단조로운 작업 등의 경우 의식수준 제 1단계의 상태 |
의식의 과잉 | 돌발사태 및 긴급이상사태에 직면하면 순간적으로 긴장되고 의식이 한 방향으로 쏠리는 주의의 일점집중현상의 경우 의식수준 제 4단계의 상태 |
의식의 혼란 | 외적조건에 문제가 있을 때 의식이 혼란되고 분산되어 작업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자극이 애매모호하거나, 너무 강하거나 약할 때 |
3. 안전사고와 사고심리에 대해 이해/적용
안전사고 요인(정신적 요소)
- 안전의식 부족
- 주의력 부족
- 방심/공상
- 개성적 결함요소(도전적인 마음, 과한 집착, 약한마음, 배타성, 다혈질, 인내심 부족, 자존심, 경솔성 등)
- 판단력 부족/그릇된 판단
- 정신력과 관련있는 생리적현상(극도의 피로, 시력/청각의 이상, 근육운동 부적합, 육체적 능력 초과, 생리 및 신경계통 이상)
불안전한 행동의 직접원인⭐⭐
- 지식의 부족
- 태도의 불량
- 기능의 미숙
- 인간에러
불안전한 행동이 배후요인
심리적 요인 | 망각 | 경험한 내용이나 학습된 행동을 다시 생각하여 작업에 적응하지 아니하고 방치함으로써 경험의 내용이나 인상이 약해지거나 소멸되는 현상 |
소질적 결함 | B=f(P·E) 적성배치를 통한 안전관리대책 필요 | |
주변적 동작 | ||
의식의 우회 | ||
걱정거리 | ||
무의식 행동 | ||
위험감각 | ||
지름길 반응 | ||
생략행위 | ||
억측판단⭐ | ||
착오(착각) | ||
성격 | ||
생리적 요인 | 피로 | 능률저하 생체의 타각적인 기능 변화 피로의 자각 등의 변화 |
4. 재해빈발자의 유형에 대해 이해/적용
5. 노동과 피로에 대해 이해/적용
6. 직업적성과 인사관리에 대해 이해/적용
7. 동기부여 이론 이해/적용
8. 무재해운동과 위험예지훈련에 대해 이해/적용
반응형
'기존 내용들 > 산업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7.24 산업안전기사 필기 cbt 오답노트 (0) | 2021.07.25 |
---|---|
07.23 산업안전기사 필기 cbt 오답노트 (0) | 2021.07.23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1. 안전교육_4 (0) | 2021.07.18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1. 안전교육_3 (0) | 2021.07.18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1. 안전교육_2 (0) | 2021.07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