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1. 안전관리론
<무재해 운동 3원칙, 3요소> 헷갈리지 말기
3원칙 | 3요소 |
사업장 내의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적극적으로 사전에 발견하고 파악, 해결함으로써 산업재해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없애는 무의 원칙 | 최고 경영자의 경영자세 |
사업장 내에서 행동하기 전에 잠재위험요인을 발견하고 파악, 해결하여재해를 예방하는 안전제일의 원칙(선취의 원칙) |
라인화의 철저(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) |
전원이 일치 합력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전원참여(참가)의 원칙 |
직잡(소집단 등)의 자주적 활동의 활발 |
<착시현상>
2.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
<위험분석기법 종류>
이름 | 정의 | 특징 |
PHA | 모든 시스템 안전 프로그램 개발 단계의 최초 분석. 정성적 평가. | |
FHA | 서브 시스템 분석, 고장시 직접 재해 발생으로 연결되는 요소 평가. | |
FMEA⭐ | 정성적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요소의 고장을 형벌로 분석 | 특별한 훈련 없이 분석 가능, 서식 간단 but, 논리성 부족+영향 분석 힘들어 요소 분석 불가 β(1=실제손실, ~0.1까지 예상 손실, ~0까지 가능한 손실, 0=영향없음) |
ETA | 사상의 안전도를 사용한 시스템의 안전도 표기. 귀납적+정량적 | 이벤트 트리 좌>우, 성공사상-상방 실패사상-하방, 발생확률 표기, 각 사상 합=1, 각각의 곱의 합 신뢰도 계산 |
CA | 치명도 해석. 위험성이 높은 요소. | FMECA, 고장형 위험도 분류(SAE) |
THERP | 인간실수 예측 기법 | 인간의 과오율의 추정법 등 5개의 스텝으로 구성 루프, 바이패스 가짐. 맨머신 상세 분석에 적합 |
MORT | 해석트리 이용. 고도의 안전 달성 목표. | 처음으로 산업안전을 목적으로 개발 |
OSHA | 모든 사용단계에서 위험 제어. 운용 및 지원 위험 해석 |
<작업장 음압수준>
전체 수준 :
<FTA 사상기호>
<감각저장 코드화 분류>
일반적으로 작업기억의 정보는 시각(visual), 음성(phonetic), 의미(semantic) 코드로 저장
<산소소비량>
산소소비량(L/min)=(흡기*0.21)-(배기*산소%)
흡기=배기*(100-산소-이산화탄소)/79
<리즌의 에러 분류_의도에 따른 분류>
망각(Lapse) : 의도하지 않은 잘못된 행위가 행위착오보다 숨겨진 형태로 발생하는 에러
행위착오(Slip) : 의도하지 않은 잘못된 행위 중 ‘아차 하는 사이에(부주의로)’ 수행된 행위(의도와는 다른 행위)
착각(Mistake) : 행위가 계획과 정확하게 합치되지만, 부적절한 행위가 계획된 것이다. 즉, 계획(의도)이 부적절한 것
위반(Violation) :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부적절한 행위를 하는 것(ex : 게으름, 과속 등 일상적 위반, 예외적 위반)
*다른 사람들의 에러 분류 등 더 자세한 건 구글링으로 찾은 아래 pdf 확인
<동작경제의 3원칙>
1)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
① 양손은 동시에 동작을 시작하고 또 끝마쳐야 한다.
② 휴식시간 이외에 양손이 동시에 노는 시간이 있어서는 안 된다.
③ 양팔은 각기 반대방향에서 대칭적으로 동시에 움직여야 한다.
④ 손의 동작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동작 이상을 해서는 안 된다.
⑤ 작업자들을 돕기 위하여 동작의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좋다.
⑥ 구속되거나 제한된 동작 또는 급격한 방향전환보다는 유연한 동작이 좋다.
⑦ 작업동작은 율동이 맞아야 한다.
⑧ 직선동작보다는 연속적인 곡선동작을 취하는 것이 좋다.
⑨ 탄도동작(ballistic movement)은 제한되거나 통제된 동작보다 더 신속, 정확, 용이하다.
⑩ 눈을 주시시키는 동작 또는 이동시키는 동작은 되도록 적게 하여야 한다.
2) 작업역의 배치에 관한 원칙
① 모든 공구와 재료는 일정한 위치에 정돈되어야 한다.
② 공구와 재료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주위에 있어야 한다.
③ 재료를 될 수 있는 대로 사용위치 가까이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중력을 이용한 호퍼 및 용기를 사용하여
야 한다.
④ 가능하면 낙하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.
⑤ 공구 및 재료는 동작에 가장 편리한 순서로 배치하여야 한다.
⑥ 채광 및 조명장치를 잘 하여야 한다.
⑦ 의자와 작업대의 모양과 높이는 각 작업자에게 알맞도록 설계되어야 한다.
⑧ 작업자가 좋은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모양, 높이의 의자를 지급해야 한다.
3) 공구 및 설비의 설계에 관한 원칙
① 치구, 고정장치나 발을 사용함으로써 손의 작업을 보존하고 손은 다른 동작을 담당하도록 하면 편리
하다.
② 공구류는 될 수 있는 대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조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.
③ 공구류 및 재료는 될 수 있는 대로 다음에 사용하기 쉽도록 놓아 두어야 한다.
④ 각 손가락이 사용되는 작업에서는 각 손가락의 힘이 같지 않음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.
⑤ 각종 손잡이는 손에 가장 알맞게 고안함으로써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.
⑥ 각종 레버나 핸들은 작업자가 최소의 움직임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.
<설비보전 방법>_링크 누르면 위키백과 연결
- 예방보전 : PM
- 정기보전 : 매일, 매주 등
- 개량보전 : 설비가 고장난 후 보수하는 것뿐만 아니라, 소규모 설계변경·재료개선·부품대체 등설비수명 연장, 노후화 방지를 위한 보전활동이다.
- 보전예방 : 신뢰성이 높은 설비를 설계·제작하고자 하는 활동
- 일상보전 : 설비 열화 방지를 위한 점검, 총소, 주유 및 교체 등
3. 기계위험방지기술
<프레스 작업_위험한계>
제품 및 스크랩을 위험한계 밖으로 배출 : 공기분사장치, 키커, 이젝터
제품 및 스크랩을 위험한계를 벗어난 장소에서 송급 : 피더
<위험점>
협착 : 왕복+고정
절단 : 회전 날 자체(톱날 등)
물림 : 회전+회전
끼임 : 회전+고정
<양수기동식 방호장치 안전거리>
D(안전거리)=1600T
T=(1/클러치개소수 + 1/2)*(60/매분행정수spm)
4. 전기위험방지기술
<착화한계전압>
착화최소에너지(단위 : mJ)=1/2 * 10*극간용량(단위 : pF) * 착화한계전압(단위 : V)^2
<도체구의 전위>
대전 Q = 4𝝿 * e * 반경r * 도체구 전위 V (유전율 e : 8.855*10^(-12))
<내전압용절연장갑 등급>
등급 | 교류전압 | 직류전압(교류*1.5) |
00 0 1 2 3 4 |
500 1000 7500 17000 26500 36000 |
25500(=17000*1.5) 39750(=26500*1.5) |
<저압전로의 절연성능>
저압 전로의 절연저항 기준 (개정안, 2021년~)
전로의 사용전압 V |
DC시험전압 V |
절연저항 MΩ |
SELV 및 PELV | 250 | 0.5 |
FELV, 500V 이하 | 500 | 1.0 |
500V 초과 | 1,000 | 1.0 |
[주] 특별저압(extra low voltage : 2차 전압이 AC 50V, DC 120V 이하)으로 SELV(비접지회로 구성) 및 PELV(접지회로 구성)은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, FELV는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|
sp(네)-250-0.5 >2배 곱 F5-500-1 > 500초과-1000-1
<허용접촉전압, 허용보폭전압>
허용접촉전압 : (인체저항 + 3/2*지표면저항률)*심실세동 전류
허용보폭전압 : (인체저항 + 6*지표면저항률)*심실세동 전류
<방폭기기 그룹>
그룹Ⅰ : 폭발성 갱내 가스에 취약한 광산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함.
그룹Ⅱ : 위의 것 의외에 잠재 폭발 위험분위기를 가지는 장소에 설치. 세부분류로 A,B,C가 있음.
그룹Ⅲ : ?
방폭에에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 참고 : https://blog.naver.com/PostView.nhn?blogId=letsbeok&logNo=221590116517&parentCategoryNo=&categoryNo=45&viewDate=&isShowPopularPosts=true&from=search
방폭 장비의 가스그룹과 분진 그룹 (1)
Q1. 가스그룹 IIB+H2는 무엇인가? A1.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당 장비는 가스그룹 IIB에 해당하는...
blog.naver.com
<피뢰설비_외부피뢰시스템_수뢰부시스템>
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피뢰설비에서 외부피뢰시스템의 수뢰부시스템으로 적합한 것
돌침, 수평도체, 메시도체
<정전기 재해 방지 배관내경, 유속 제한값>
관내경(mm) | 제한유속 (m/s) |
10 25 50 100 200 400 600 |
8 4.9 3.5 2.5 1.8 1.3 1.0 |
*개꿀팁 : P(압력) ∝ A(단면적)*V(유속)^2의 유체역학 내용을 기반으로 관내경*유속^2은 동일하게 600대선.
<허용접촉전압>
제1종 : 2.5V이하
2 : 25V이하
3 : 35V이하
4 : 제한X
<계통접지 종류>
<정전기 발생요인>
물체 특성, 표면상태, 이력, 접촉면적, 압력, 분리속도
5. 화학설비위험방지기술
<아세톤=에탄올>
증기 유독, 무색, 휘발성, 비중 0.79, 인화점 -18
<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 노출기준>
1. 가스 및 증기 ppm
2. 분진 및 미스트 등 에어로졸 mg/m^3
3. 고온 습구흑구온도지수(WBGT)
<르샤틀리에 폭발하한계, 폭발상한계>
폭발하한계 : 100/LEL(= v1/x1 + v2/x2 +...)
폭발상한계 : 100/UEL(= v1/y1 + v2/y2 +...)
v : 각 성분의 체적, x : 각 성분의 폭발하한치, y : 각 성분의 폭발상한치
<C-H계열 이름>
C4H10 : 부탄
C3H8 : 프로판
C2H6 : 에탄
CH4 : 메탄
<분말소화약제 주성분>
제 1종 : 탄산수소나트륨
2 : 탄산수소칼륨
3 : 제1인산암모늄
4 :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
<연소범위에 따른 위험도>
위험도 = (연소범위 상한값-연소범위 하한값)/연소범위 하한값
<소화약제의 하론번호>
C F CL BR 개수 차례대로 (ex : CF3BR = 1301)
<화학물질 노출기준>
가장 작은 물질 : 염소
별표·서식
www.law.go.kr
<건조실 설치 건축해야하는 건조설비>
1. 가열/건조 내용적 1㎥
2. 고체/액체 연료 최대사용량 10kg/h
3. 기체연료 최대사용량 1㎥/h
4. 전기사용 정격용량 10kW이상
6. 건설안전기술
<강관틀비계 넘어짐 방지 벽이음 및 버팀 설치간격>
높이 5미터 이상 : 수직 6m, 수평 8m
<히빙, 보일링, 파이핑 현상>
히빙(heaving), 보일링(boiling), 파이핑(piping) 현상
▒ 기출문제 - 94회 1교시 11번 : 흙막이 공사의 Boiling 현상 - 88회 2교시 5번 : 널말뚝식 흙막이공사의 하자발생요인 중에서 Heaving failure, Boiling failure 및 Piping 현상에 대한 방지대책에 대해 기술하..
www.gigumi.com
<가설구조물_ 31 6 2 >
1. 높이 31m 이상 비계
2.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 또는 6m 이상 높이의 거푸집 및 동바리
3. 터널의 지보공 또는 높이가 2m 이상 흙막이 지보공
4. 동력 이용 움직여지는 가설구조물
<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해야하는 다리건설공사>
최대 지간길이 50m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
<굴착과 싣기 동시에 할 수 있는 토공기계>
트랙터 셔블, 백호, 파워셔블
<강관틀 비계 조립 준수사항>
1. 비계기둥의 밑둥에는 밑받침 철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밑받침에 고저차(高低差)가 있는 경우에는 조절형 밑받침철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강관틀비계가 항상 수평 및 수직을 유지하도록 할 것
2. 높이가 20미터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 간의 간격을 1.8미터 이하로 할 것
3. 주틀 간에 교차 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
4. 수직방향으로 6미터, 수평방향으로 8미터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
5. 길이가 띠장 방향으로 4미터 이하이고 높이가 10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미터 이내마다 띠장 방향으로 버팀기둥을 설치할 것
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
www.law.go.kr
<양중기 종류>
1. 크레인[호이스트(hoist)를 포함한다]
2. 이동식 크레인
3. 리프트(이삿짐운반용 리프트의 경우에는 적재하중이 0.1톤 이상인 것으로 한정한다)
4. 곤돌라
5. 승강기
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규칙
www.law.go.kr
'기존 내용들 > 산업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25 산업안전기사 필기 cbt 오답노트 (0) | 2021.07.26 |
---|---|
07.24 산업안전기사 필기 cbt 오답노트 (0) | 2021.07.25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2. 산업심리_1 (0) | 2021.07.19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1. 안전교육_4 (0) | 2021.07.18 |
part2) 안전교육 및 심리_chapter 1. 안전교육_3 (0) | 2021.07.18 |